2016년 10월 07일 10시 16분
초록
이 글에서는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가장 핵심적인 키워드 중 하나인 시장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시장에 대한 연구는 사회학의 전통적인 연구영역으로서 오래전부터 다루어져 왔지만, 그것이 지니고 있었던 몇 가지 한계점으로 인하여 사회적 현상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시장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경제학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통성을 잃어버리게 되는 한계점을 드러내었다. 이는 전통적인 경제사회학의 경우 자본주의 시장체제의 선결조건으로서 존재하는 사회학적 요인들을 추상적으로 접근하게 됨에 따라 실제 사례들 및 경제 현상의 구체적인 모습들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는 소홀했던 측면과, 신경제사회학의 경우 개별 사례분석에는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으나 시장을 지배하는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측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본 논문은 경제사회학 내부에 존재하는 두 개의 중요한 공백을 채우고자 한다. 첫째로 이 연구는 시장에 대한 경제사회학의 구조적 접근방식과 소비자들의 소비행위에 관한 연구 사이의 거리를 좁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기서는 구조적 시장 분석의 대표적 사례인 해리슨 화이트의 상품시장 모델을 집합적 소비자들의 소비행위 패턴을 네트워크 외부성을 고려한 모델로 수정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이 연구는 기존에 상대적으로 연구성과가 축적되지 못했던 시장의 추상적 구조에 대한 수리적 메커니즘을 사회학적 견지에서 재구성해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화이트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수행된 것들이 있지만 사회적으로 배태되어 있는 소비자들의 소비행위에 관한 지점들이 그들의 연구에는 누락되어 있고,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보다 다양한 개별 시장들의 실제적 모습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없는 공백을 지니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문제점들을 다룰 수 있는 진전된 모델을 수립하면서, 이러한 모델을 실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고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시장의 모습들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결국 시장의 수리적 메커니즘을 사회학적 견지에서 재구성하는데 있어 보다 확실하고 풍부한 가능성을 지닌 방법을 정립하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공백을 메우는 작업은 공통적으로 네트워크 외부성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네트워크 외부성에 관한 논의는 주로 경제학 등에서 IT관련 상품 및 첨단기술제품 등과 관련한 협소한 분야에 국한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네트워크 외부성의 본질적인 의미가 사회학의 전통에서 자주 다루어져왔던 유행과 모방 및 동형화의 심리기제, 취향의 문제들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인데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표준성과 연계성이라는 측면이 강조되는 일부 시장분야만을 초점으로 측면이 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사회학에 쓰일 수 있는, 특히 소비자 행위분석에 쓰일 수 있는 네트워크 외부성의 의미를 보다 정교화하였고 이를 통해 시장에 대한 기존의 구조적 분석(특히 화이트의 상품시장 모델)에 사회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사람들의 소비행위와 관련된 특성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네트워크 외부성의 축을 새롭게 부여한 시장공간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소비심리 및 소비행위와 관련된 문제를 고려하면서, 보다 사회학적인 의미를 가지는 현실적인 시장 공간으로 재구성 하였고 이를 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접촉하면서 구성해내는 사회학적인 시장 공간, 혹은 사회학적인 시장의 인터페이스를 네트워크 외부성의 축으로 묶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화이트의 시장모델에 대한 수정을 한 후,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것이 함축하는 의미를 가시화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실시해 본 결과 드러난 새로운 시장스케쥴의 모습은 기존 화이트의 모델과는 달리 시장내 분화의 모습과, 시장점유율에 따른 강화피드백의 형성 등을 보다 분명히 드러내어주는 결과를 보였다. 본고가 화이트의 상품시장 모형과 관련해서 방법론상의 문제에 있어서 가지게 되는 추가적인 의미는, 기존의 화이트 시장 모델의 경우 경제수학에 있어서의 전통적인 정태적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드러나는 시장의 모습이 필연적으로 정지된 채로 기존의 구조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던 반면, 새로운 모델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드러난 시장은 개별 생산자가 스스로의 선택에 의해 그러한 구조 속에서 동태적으로 자신의 행위규칙에 따라 행위하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구조적 시장분석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인 화이트의 시장 모형이 취하고 있는 과잉구조화된 관점, 그리고 그와 관련된 방법론적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