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0일 03시 25분
목 차
1. 들어가며: 노동시장의 사회학
2. 노동시장 구조 분절 (1) 효율성 접근 a. 내부노동시장론 b. 거래비용접근 c. 내부노동시장의 정교화, 내부/외부 노동시장의 통합적 이해 (2) 노동과정중심 접근 a. 탈숙련화와 노동의 격하 b. 노동과정 통제와 노동시장 분절 c. 분절에 대한 동의 창출 (3) 거시구조적, 제도적 접근 a. 권력관계의 제도화 b. 다중인과론적 접근: 신구조주의 c. 노동시장 제도 d. 노동력의 사회적 재생산과 노동시장
3. 분절에서 유연화로: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의 불안정화 (1) 사용자의 효율성 추구 전략: 유연화론 a. 유연기업모델 b. 유연성 논쟁 c. 유연화 및 비정규 노동 활용을 추동한 요인들에 대한 논의 d. 노동시장 유연화와 내부노동시장 변화 (2) 생산의 재조직화와 노동시장 유연화: 노동과정중심 접근 a. 자본주의 구조적 위기에 대한 인식 b. (세계적 차원에서의) 생산의 재조직화 c. 노동과정 변화와 노동시장유연화 (3) 노동시장 유연화와 제도 a. 노동시장 제도의 중요성 b. 국가별 비교연구 c. 체제 접근
4. 노동시장과 자본축적: 대안적 접근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