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0일 03시 23분
목 차
1. 서론: 국가연구의 현재적 의미
2. 국가연구의 시기적 변화 (1) 1국면: 국가개념의 재발견 (2) 2국면: 국가를 둘러싼 논쟁과 '국가의 위기' (3) 3국면: 국가로의 복귀와 '정책개혁' (4) 4국면: 정치이 위기와 국가의 퇴각?
3. 국가연구의 이론적 전제와 쟁점 (1) 국가개념의 다의성 (2) 국가연구의 이론적 패러다임과 개념적 정의 (3) 국가연구의 방법론적 전략: 논리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 (4) 소결
4. 현대국가의 조건과 모순: 이론적 전제로서 국가주권 (1) '주권' 개념을 둘러싼 논쟁 (2) 국제관계와 민족국가: 국가주권의 대외적 모순 (3) 보편적 정치공동체로서 국가: 국가주권의 대내적 모순? (4) 물리적/상징적 폭력의 독점: 국가주권의 조건?
5. 현대국가의 자율성 논쟁 (1) 국가와 자율성: 성격과 조건 (2) 국가와 사회: 자율성에서 연계로 (3) 자본주의와 국가: 자본가의 국가에서 자본주의적 국가로
6. 현대적 민족국가의 역사적 진화: 역사적 분석의 쟁점 (1) 국가와 민족형태 (2) 현대 민족국가의 역사적 형성과 확산 (3) 20세기 국가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7. 평가와 전망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