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0일 03시 12분
목 차
1. 서론 (1) 시선과 관심 (2) 비교분석의 방향
2. 자원동원론 (1) 개요 (2) 자원동원론의 형성과정 및 주요 이론가 a. 자원동원론의 이론적 토대로서의 올슨의 합리적 선택이론 b. 경제사회학적 자원동원론: 맥카시와 졸드 c. 정치사회학적 자원동원론: 틸리와 오버샬 (3) 자원동원론의 일반적 특성 a. 분석시각 b. 운동의 특성에 대한 분석 (4) 자원동원론에 대한 비판
3. 신사회운동론 (1) 개요 (2) 주요한 이론가 a. 오페 b. 하버마스 c. 뚜렌느 d. 멜루치 e. 잉글하트 f. 기든스 (3) 신사회운동론의 주요특성 a. 분석시각 b. 운동의 특성에 대한 분석 (4) 신사회운동론에 대한 비판 a. 신사회운동의 '새로움'의 성격 b. 물상화된 분석범주로서의 '새로움' c. 사회운동의 구체적 과정에 대한 분석결여
4. 두 접근방식의 비교 및 종합화의 모색 (1) 자원동원론과 신사회운동론의 비교 a. 두 이론적 입장의 차이 b. 두 이론의 상호보완성 (2) 종합화의 모색: 사회운동의 구성주의이론 a. '사회적 구성'의 연구방향 b. 평가
5. 맺음말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