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0일 03시 10분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용어 및 용어법의 쟁점들 (1) 출산력통제 (2) 생식 또는 재생산 (3) 수태조절 (4) 출산조절 또는 '산아제한' (5) 가족계획 a. Planned Parenthood Movement b. 한국 가족계획사업에서의 '가족계획' 정의와 문제점 c. '가족계획'의 용어법들 (6) 인구통제 혹은 인구조절 a. 신맬더스주의적 관점에서의 '인구통제'의 사례 b. 역사적 실재로서의 '인구통제'에 대한 페미니즘적 개념화의 사례 c. 국제적 제도로서의 '인구통제'의 연구사례 (7) 피임과 낙태/인공유산 a. 피임과 낙태의 구별 문제 b. 낙태권에서 '재생산적 권리'로
3. 출산조절과 사회변화에 관한 역사적 연구들 (1) 현대성의 형성 계기로서의 출산조절 (2) 출산조절에 대한 서구 역사학자들의 연구 리뷰 a. 통사적 연구들 b. 출산조절 수단/방법/기술의 역사 c. 사회운동과 담론지형의 변화
4. 1960-70년대 한국사회에서 나온 관련 연구들 (1) 인구 및 출산력에 관한 전국적 조사연구 (2) 가족계획사업의 일부로서 실시된 조사연구들 a. 액션 프로그램들 b. 가족계획요원 활동 및 여타의 사업지원을 위한 연구 (3) '사업' 바깥의 관련 연구들: 사회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4) 출산조절의 역사에 대한 연구들
5. 1980년대 이후의 한국 연구들 (1) 가족계획사업 및 인구억제정책에 대한 정리 및 평가 (2) 출산조절의 실태 및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들 a. 출산조절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들 b. '한국여성'의 출산/출산조절 행태에 대한 분석들 c. 출산/출산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d. 낙태/인공유산/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연구들 d. 남아선호 및 출생성비불균형에 대한 연구들 (3) 페미니스트 연구 흐름의 등장 a. 출산 및 출산조절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 b. 한국 출산/출산조절에 대한 페미니스트 연구 c. 페미니스트 연구들의 의의와 제한점 (4) 사회적 변화의 계기로서의 출산조절: 발전국가의 '근대화 프로젝트'
6. 맺음말
참고문헌 |